본문 바로가기

성남시장애인권리증진센터

알림마당
공지사항
성장인 뉴스
 문의전화 customer center 031-725-9507 월~금 09:00~18:00 토요일 공휴일 휴무
홈  >  알림마당  >  복지뉴스
인쇄하기

복지뉴스

언론사 : 비마이너

“이쯤 되면 이 방송은 ‘화면해설방송’이 아니라 ‘자막 낭독 방송’이죠”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 이것저것 ‘총체적 문제’

제작업체의 낮은 전문성, 10% 비율조차 재방송으로 채우는 방송국, 손 놓고 있는 방통위까지

비마이너, 기사작성일 : 2018-04-02 14:43:00
“궁금한 장면, 재밌는 장면, 등장인물 등 꼭 필요한 화면해설은 이뤄지지 않고 화면에 보이는 자막만 기계적으로 읽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이 방송은 화면해설방송이 아니라 ‘자막 낭독 방송’이죠.” “이 프로그램을 보고 느낀 점은 철저하게 자막에 의존한 해설이라는 것. ‘화면해설=자막해설’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해설을 쓰신 듯함. 그런데 자막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함.”

“기본적으로 화면해설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제작진이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수준으로 방송을 제작했다고 생각됩니다.” “예능 프로그램인데 상황 설명보다 거의 자막을 그대로 읽는 해설들이라 듣기에 어색하고 장면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해설방송에 대해 시각장애인 당사자들이 한 모니터링 평가 중 일부다. 화면해설방송은 대사, 시간, 움직임, 소리 등 화면에 흐르는 수많은 정보 중 시각장애인이 해당 영상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들로 화면해설작가가 재취합해 대본을 쓴 뒤 성우가 녹음하고 화면해설 전문엔지니어가 영상작업을 한다. 한 마디로 화면해설방송은 화면해설작가의 창조력,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수준 등이 핵심이다. 성우가 단순히 폐쇄자막을 읽는 식으로 화면해설이 제작될 수 없는 이유다.

폐쇄자막방송, 수어통역방송, 화면해설방송은 요구되는 전문성, 기술 등이 서로 다르다. 하지만 현재 장애인방송물시장에서는 한 업체가 서로 다른 전문성이 요구되는 장애인방송을 모두 만드는 일괄수주방식인 이른바 ‘턴키방식’으로 계약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각 장애인방송의 영역이 다름에도 방송국들은 왜 일괄수주방식으로 한 업체와 계약을 할까. 황덕경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미디어접근센터장은 장애에 대한 방송국들의 몰이해로 인한 행정편의주의를 꼽는다.

(후략)
관련기사보기
목록
미래창조과학부 WEB ACCESSIBILITY 인증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