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업
교육사업
특화사업
홍보사업
온라인상담
교육안내
장애인 인권 및인식개선교육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강사파견교육
공지사항
보도자료
인권뉴스
성장인 포토
인식개선 교육 웹툰
센터발간물
인사말
연혁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14일 서울 여의도 장애인 종합복지공간 이룸센터의 한 강의실. 20여명의 청년들 가운데 김상욱(21)씨가 오답을 말하자, 강사로 나선 백정연 ‘소소한소통’ 대표가 친절한 목소리로 힌…
장애인의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이 매년 증가하지만 보안에 대한 낮은 이해도는 문제다. 스마트폰 사용법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해킹예방 교육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
화성시를 포함한 도내 지자체들이 저상버스 법정 의무대수를 준수하지 않는 등 장애인 이동권을 외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어 지자체와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지난 3월 9일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도 장애인 투표권이 어김없이 침해됐다. 법원의 강제조정에 따라 발달장애인도 투표보조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매뉴얼까지 변경했지만, 전…
식료품과 의약품 내 표기된 점자 정보가 부족해 시각장애인들의 정보 접근성이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의약품의 경우 지난해 6월 약사법 개정에 따라 오는 2024년부터 일부 의약품에 한…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도 ‘또’ 발달장애인이 억울하게 경찰의 과잉진압과 폭행을 당했다. 지난해 5월 ‘발달장애인 뒷수갑 연행’이 이슈화되고, 인권위도 …
취업 및 승진 목적으로 공공연하게 활용되는 영어능력검증시험 중 하나인 TOEIC(이하 토익)에 응시하는 장애인들은 매년 장애를 증명해야 하는 현실에 놓여있다. 17개 장애인단…
투표소에 동행한 김향길 장애인활동지원사(66)의 도움으로 신분증 확인을 마친 추씨는 앞서 도착한 유권자들 뒤 대기열에 합류했다. 그러나 투표소에서는 "여기서 투표할 수 없다"는…
"매번 느끼는 데 선거 과정에서 제대로 된 공약을 알아보기 너무 힘드네요. 장애인들도 공약을 좀 알고 싶어요." 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장애인에 대한 선거공보물 접근성이 여전…
우리나라 기업체들의 장애인 고용은 여전히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장애인 근로자의 고용률은 1.48% 수준이며, 신규 채용 계획이 있음에도 장애인 …
스마트폰 화면을 켜고 구독 중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에 접속한다. 수십개의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정한 후 감상을 시작한다. 간단해보이는 듯한 일련의 과정 속에…
전국 지방자치단체 청사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가 여전히 엉망인 것으로 조사됐다. 10곳 중 3곳만 법대로 설치됐고, 23.8%는 아예 편의시설 조차 없어 시각장애인…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교육 중인 시각장애인 안내견 출입을 막아 논란이 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유사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이 우선돼야 한다…
QR코드 인증을 통한 방역패스 정책 확대로 장애인들이 일상에 불편을 겪고 있다.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QR코드를 인식 범위에 맞추는 것도, 열화상 카메라 앞에 서는 것도 어려운 탓이다. …
제20대 대통령선거(3월 9일)를 앞두고, 발달장애인 투표 보조 지원을 둔 법정 다툼이 팽팽하게 펼쳐졌다. 발달장애인 측은 “혼자 투표할 수 없는 발달장애인에게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