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업
교육사업
특화사업
홍보사업
온라인상담
교육안내
장애인 인권 및인식개선교육
직장 내 장애인인식개선강사파견교육
공지사항
보도자료
인권뉴스
성장인 포토
인식개선 교육 웹툰
센터발간물
인사말
연혁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경찰청이 올해 전국 3000여개 경찰관서를 대상으로 장애인 의무 편의시설을 전수조사한 결과, 전국 평균(80.2%)을 크게 밑도는 69%의 설치율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당 …
지난해 발생한 장애인 학대 사례 5건 중 1건은 피해 장애인의 지인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대는 주로 피해 장애인의 거주지나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발생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장…
전맹 시각장애인인 지석봉씨(47)는 지난해 6월 서울의 한 패스트푸드점에서 난감한 일을 겪었다. 밖에 나온 김에 직장의 다른 시각장애인 동료들 몫까지 햄버거 단품 4개를 사려고 했는데, …
국회입법조사처가 올해 국정감사에서 주목할 만한 정책이슈를 선정한 ‘2021 국정감사 이슈 분석’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21년 국정감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될필요가 …
최근 이런저런 일로 영국의 장애 관련 통계 자료를 찾아보다 언뜻 납득하기 어려운 수치를 보게 됐다. 하나는 2020년 3월부터 7월까지 영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관련 사망자 중 장애인이 60%…
국가인권위원회가 12일 퇴원 신청서를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중증 지적장애인의 퇴원 요청을 거부한 정신의료기관에 대해 "피해자의 신체 자유를 침해했다"며 시정 권고를 내렸다. …
“한번 들어와봐요.” 2019년 3월 서울 중랑구에서 길을 걷던 발달장애인 임성섭씨(25·가명)에게 휴대폰 대리점 직원 A씨가 건넨 첫마디였다. 평소 휴대폰, 게임기 등 전자기기에 …
"누가 앉으래? 차렷! 혼나 너 X…" 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A씨는 지적장애인에게 상습적으로 소리를 질렀다. 또 "마지막 경고야. 너 김밥 먹을거…
최근 중증 발달장애인의 혼잣말을 잘못 들은 한 주민이, 외국인이 위협했다며 경찰에 신고를 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출동한 경찰이 장애를 알아채지 못하고, 제대로 답을 하지 않는…
장애인의 의약품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상비의약품 등 용기와 포장 등에 점자와 음성, 수어 영상 변환용 코드 표시 의무화, 대형마트 등에 ‘휠체어 장애인용 쇼핑카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이용장애인 대부분이 중증이고 발달장애인인데, 종사자는 맞고 이용자는 대상이 아니고. 이거 모순 아닙니까?"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고 있는 …
"유튜브를 통해 장애가 그렇게 멀지 않다는 것, 어렵거나 불쌍한 것이 아니라는 걸 말씀드리고 싶어요." 시각장애인 허우령씨의 말이다. 그녀는 유튜브 채널 '우령의 유디…
내년부터 신축되는 50㎡(약 15평) 이상 음식점, 편의점 등 소규모 공중이용시설은 주출입구 경사로 등 장애인 편의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봉(鳳)을 두고 이렇게 정의합니다. '어수룩하여 이용해 먹기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통신사 상품 '줄줄이 개통'으로 피해를 호소…
코레일이 ‘매뉴얼에 없다’는 이유로 다급하게 화장실 이용지원을 요청한 중증장애인을 거부한 사건이 발생했다. 장애계는 “정당한 편의제공 거부”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